<img height="1" width="1" style="display:none;" alt="" src="https://px.ads.linkedin.com/collect/?pid=4666124&amp;fmt=gif">

A.I Customizing

우리 기업만의
인재상과 선발기준.

채용을 반복할수록 우리 기업만의
인재상과 선발기준을 정립 할 수 있습니다.

  • 고객지향성 7.1%
  • 열정 9.7%
  • 성실 4.8%
  • 책임감 5.3%
가중치 설정

JOBFLEX
AI커스텀으로
만드는 우리 기업
최적화 채용

자세히 보기
인재상 설정

뇌신경과학/심리학
/경영학의
학술근거를 통해
성과를 예측할 수
있는 키워드 설정

도덕성 도전정신 실행력 멀티태스킹 추론력 집중력 타인 신뢰 수용성

AI커스텀의 단계

공고 등록, 전형 평가, 재직자 데이터가 축적될수록
우리 기업과 각 직무의 인재상 가중치 추천 고도화

  • 01

    기초
    설정

    02

    조직
    설정

    인재상 기본역량 심화역량 조직문화
  • 03

    직무
    설정

    기본역량 심화역량 업무특성 선호인재
    04

    재직자
    설정

  • 05

    가중치
    설정

AI커스텀의 기적

최적의 인재 선발로
고성과자 비율 상승, 조기 퇴사자 비율 감소

고성과자 8배 상승

(AI역량검사 기업 커스텀 후 정확도 82% 기준)

AI역량검사활용 전
  • 자소서-학력 및 스펙으로 성과역량 판단불가
  • 인적성-지식 및 아이큐 테스트로 평가 정확도 34%
  • 면접- 면접관의 편향/편견으로 정확도 10%
  • 최종 합격자 A ~ D급 인재 고루 분포
채용
AI역량검사활용 후
  • B급 이하 필터링
  • 우수수준 이상 인재 선별이 가능
  • 최종 합격자 A ~ B급 인재 확대
채용 AI역량검사 필터

(입사 1년 이내 퇴사자)조기 퇴사율 3년 평균 1%

(JOBFLEX 활용 전 11.8% 대비 1/10 감소)

AI역량검사활용 후
연도 채용 공고 퇴사율(1년 이내)
2020 2020년 상반기 0.0%
2019 2019년 하반기 0.0%
2019 2019년 상반기 0.0%
2018 2018년 하반기 0.0%
2018 2018년 상반기 5.9%
AI역량검사활용 전
연도 채용 공고 퇴사율(1년 이내)
2017 2017년 하반기 (열린채용_블라인드) 7.1%
2017 2017년 상반기 (글로벌 인턴십) 18.2%
2016 2016년 하반기 (M-SEED 사관, 1주 면접) 5.6%
2016 2016년 상반기 (G-SEED 사관, 4주) 11.1%
2015 2015년 하반기 20.0%
2015 2015년 상반기 (글로벌 인턴십 2기) 0.0%
2014 2014년 하반기 (줌인 합숙면접) 15.0%


일률적 기준이 아닌
우리 구성원 데이터를 기준으로
평균적인 성향과 고성과자 성향
비교 분석 가능한 점
가장 마음에 들었어요.
구성원이 회사에서 보이는 특성과 검사 결과가 일치하여
검사 결과를 채용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는 신뢰가 생겼고,
3년간 운영해온 데이터가 누적되어 그 활용성이 더욱 높아졌습니다.
전체 스토리보기

NEXT

채용 플랫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