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height="1" width="1" style="display:none;" alt="" src="https://px.ads.linkedin.com/collect/?pid=4666124&amp;fmt=gif">

FO

직무적합 인재를 찾아서

2022-08-31

경영지원직무 고성과자는 

높은 정직성과 책임감, 낮은 충동성

다른 직무와 구분되는 특징을 보여줍니다

 

- 인재선발도구 효과성분석 리포트 본문 중 -

 

 

채용시장에서 '직무 적합도'를 가장 중요한 평가요소로 꼽는 요즘

직무 적합도를 판별할 수 있는 과학적인 인재선발도구는 얼마나 있을까요?

 

서류전형부터 면접전형으로 이어지는 채용 방식의 한계를 짚어보고,

'직무별로 두각을 보이는 특성'과 '직무별로 성과를 결정 짓는 역량'을 활용한 

'직무 적합 인재' 선발 방법을 리포트에서 확인해보세요!

 

BODYIMG(3)_FUTUREFOCUS

 

리포트에서 이런 내용도 확인할 수 있어요

 

5p

- 학력, 학점, 인성검사 중에서 입사 후 성과와 가장 관련성이 떨어지는 인재선발도구는? (p.5)

 

 

6p

- 기존 필기시험 및 인적성 검사는 인지능력 측정 변별도가 왜 낮을 수 밖에 없을까? (p.6~7)

 

 

8p

- 인사담당자가 인재 선발 시 (신입, 경력 포함) 평가 요소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p.8~9)

 

 

p14

- 각 직무별로 채용 장면에서 평가해야 할 ‘핵심역량’은 어떤 기준으로 선정해야 할까? (p.1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