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적 사고의 중요성에 대해서라면 누구보다 잘 알고 계실 여러분께 새로운 인사이트를 드릴 수 있는 강연을 준비했습니다.
우리는 사람의 마음을 알 수 있을까요?
사람의 마음을 과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면 HR분야는 어떻게 변화할까요? 연세대학교 김민식 교수는 더 좋은 HR을 위해서는, 사람의 마음을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인지심리학적 관점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김민식 . 인지심리학은 인간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입니다.
Breeze . 인지심리학이 경영 혹은 HR분야에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김민식 . HR이나 경영 모두 결국 인간이 관여하는 일이고 인간의 판단과 사고가 중요한 영역입니다. 인지심리학이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하고 인간에 대한 접근 방법, 경영에 대한 연구방법과 같은 것들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Breeze . HR분야 담당자가 더 좋은 HR을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것들이 개선되어야 할까요?
인간을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시각이 필요합니다. 인간에 대한 연구는 지금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인간에 대해 알지 못했던 연구결과나 새로운 발견들에 대해 HR 종사자들도 계속 공부하고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Breeze . 최근 사람의 중요성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듣곤 했는데, 사람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은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기 위한 과학의 관점'이라니 교수님의 강연이 기대되네요!
Q1. 우리의 정서는 그 정서와 무관한 판단에도 영향을 줄까요?
Q2. 협동이나 경쟁 상황의 기억이 우리에게 영향을 줄까요?
우리가 보고, 듣고, 느끼고 판단하는 것. 즉 우리의 생각은 가변적이고, 상대적이고 비합리적일 수 있습니다. 정서적 맥락이나 사회적 맥락 모두 우리 마음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심리학은 이러한 인간의 마음과 행동을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학문입니다.
우리는 인과관계를 정확히 판단하고 올바른 판단을 내리기 위해, 인간의 마음과 행동에 대한 과학적 사고를 습관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신념과 증거를 구분하는 훈련, 우리의 마음이 종종 비합리적임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식적인 자각 없이도 우리의 태도와 판단에 영향을 주는 정보들은 어떠한 매커니즘으로 작동할까요?
페이지 하단에서 강연 자료를 통해 자세히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