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height="1" width="1" style="display:none;" alt="" src="https://px.ads.linkedin.com/collect/?pid=4666124&amp;fmt=gif">

HRM

인사평가의 CSF - 평가 피드백의 의미와 방법론

2019.07.17

cover

과거에는 그랬습니다. 

상대평가와 등급제에 기반한 결과 통보가 피드백이라고 말입니다. 그래서 '인사평가 피드백을 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평가자는 '했음'을 피평가자는 '하지 않았음'을 선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인사평가] - [평가 피드백]의 과정에서 유의미한 contents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HR은 평가제도를 어떻게 보완해야 할까요? 실무 관리자에게 공유가능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합니다.

평가의 Critical Success Factor : 피드백 

 

피드백

<피드백 이야기, 리처드 윌리암스, 토네이도 출판사>에 있는 그림입니다. 

이 피드백 통은 사람에 의해 줄어들고 사람에 의해 채워집니다. HR system이 해줄 수 있는 영역이 아니겠죠. 관리자에게 피드백에 대한 이야기를 드리기도 하지만 사실 국내 관리자에게 어려운 부분이기도 합니다. 

사람은 누구나 피드백 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채워야 합니다. 채우지 않으면 계속 비워질 테니 말입니다. 사람마다 이 피드백 통을 채우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두 유형으로 이를 구분합니다.

 

 

1. 피드백 통을 채우는 두 유형
제 1유형 : 능동형

피드백 통을 내 옆의 누군가에게 바라기보다는 모임이나 세미나, 책이나 학교 공부 등을 통해 채우려고 노력합니다. HR관련 모임에 나가고, study모임에 참여하고, 책을 읽고, 글로 생각을 정리하거나 명사 특강을 찾아 듣는 유형입니다. 

제 2유형 : 수동형

신입사원이나 직무 수행 초기 몇 년이 해당합니다. 피드백 통을 채울 방법을 아직은 많이 알지 못해 주변의 선임이나 상사로부터의 피드백을 기대하게 됩니다.

 

 


2. '평가'에서의 '피드백' 

굳이 적용해 보자면 앞에서 이야기한 제2유형에 해당합니다. 관리자들이 실무적으로 어려워하는 부분은 평가의 두 주체가 만나긴 했는데 무슨 이야기를 해야  하는가?라는 난제를 만난 상황입니다. 더욱이 평가라는 다소 민감한 주제를 가지고 말입니다. 

 

과거에는 그랬습니다. 상대평가와 등급제에 기반한 결과 통보가 피드백이라고 말입니다. 그래서 '인사평가 피드백을 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평가자는 '했음'을 피평가자는 '하지 않았음'을 선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요즘은 평가 과정 피드백, 혹은 상시 피드백이라 표현하기도 합니다. 등급을 '통보'하지 말고 피드백을 통해 'contents'를 만들어내란 것입니다. contents의 생성 과정으로서의 피드백이 강조되면서 HR, 즉 평가 관리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게 됩니다.

'과정 피드백' 혹은 '상시 피드백'을 하기 위해 , 다시 말해 이러한 피드백을 통해 contents를 만들어 내기 위해 HR 제도를 통한 일종의 환경을 만들어 줄 필요가 있습니다. 이 제도가 원활하게 운영되도록 하기 위해 우리는 contents를 만들어 내기 위한 기초로서의 contents가 필요하게 됩니다. 이 '기초로서의 contents'는 당연히 HR의 요소들에 관한 정보입니다.

 

'사람'과 '직무'에 대한 정보가 메인이 되고 '조직'의 정보가 뒷받침이 되는 형태입니다.

'사람'에 대한 정보는 사람의 '육성'을 그 방향성으로 합니다. 따라서 자연스레 우리가 이야기하던 '평가'의 개념이 '측정'의 개념으로 전환되게 됩니다. '사람'의 '장점'에 초점을 맞추고 그 사람의 '장점'이 '직무'정보에서의 '직무성과'에 부합되도록 '이야기'를 통해 연결 지어주는 것. 그리고 그 과정에서 필용하거나 수반되어야 하는 장치나 조치들을 '조직'의 정보를 통해 뒷받침해주는 것 이 바로 우리가 계속 이야기하는 '피드백'인 셈입니다. 

shutterstock_1285703860

 

 

피드백이란 사람의 장점에 초점을 맞추고

그 사람의 장점이 직무정보에서의 직무성과에 부합되도록 연결 짓고

해당 과정에 필요하거나 수반되어야 할 장치나 조치들을 조직을 통해 확보해나가는 과정이다.

 

 

3. 피드백을 위한 방법론

이런 이야기를 하노라면 이런 이야기를 듣기도 합니다. 우리는 '직무'에 대한 정보가 없다거나 제대로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아서 이런 형태의 피드백을 할 수 없다 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제안드리고 싶은 방법이 하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기업에서 일을 하면서 '주간회의' 혹은 '월간회의'라는 걸 경험해보셨을 듯합니다. 전 팀원이 모여서 각자 자신이 한 일을 공유하는 자리라고는 하지만 공개적으로 부서장에게 보고하는 성격이 짙죠.

이러한 형태의 월간회의를 개인별 paper로 변형하는 것입니다. 매일 같은 공간에서 같이 일하는 사람들은 이미 내 동료가 어떤 일을 하는가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습니다. 어쩌면 신경 쓸 여유가 없을 수도 있겠죠. 제안드리는 paper는 HR팀에서 공식적으로 시행하는 것보다 각 관리자가 개별적으로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리라 생각합니다.

 

 

이 paper에는 특별한 양식이 없습니다. 다만 다음의 네 가지 질문이 주어집니다.

  1. 이번 달에 한 일들
  2. 다음 달에 할 일들
  3. 이번 달에 하지 못한 일들
  4. 현재 마음 상태

양식 없이 상기 네 가지 질문에 대해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고 해당 자료를 기초로 개인별 면담 등을 진행하는 형태입니다. 월 단위로 이러한 자료를 축적하면 현재 '직무'정보가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다 하더라도 우리가 앞에서 이야기한 피드백에 다가가는 게 좀 더 쉬워질 겁니다. 향후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직무'정보를 정의해 낼 수 도 있을 것입니다. 

 

4. 가장 중요한 것, 진정성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 더해 한 가지 꼭 담아주시길 당부드리고 싶은 게 하나 있습니다.

바로 '진정성'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아무리 세련된 언어와 논리도 '진정성'이 없으면 제대로 전달되지 않습니다. '진정성'이란 '상대방이 잘 되길 바라는 마음'이라 개인적으로는 생각합니다. 위의 제도적 절차들은 이러한 '진정성'을 더욱 꽉 채워주는 역할을 하지만 '진정성'이 없으면 위의 제도들도 결국 '형식'이 되기 때문입니다. 


HR제도의 궁극적인 목적은 '소멸'이라는 걸 잊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 제도는 사람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목적이 달성되어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그 방향을 이해하는 상태가 되면 더 이상 제도는 필요하지 않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관련 포스트 자세히 읽어보기 : HR을 이해하는 관점]

이어지는 포스트에서는 우리가 결과 피드백에서 주로 행하는 결과로써의 '등급'과 '등급제'에 대해 이야기를 이어보겠습니다.

profile02

세상에 없던 은행

카카오뱅크의 새로운 모험

Whitepapers_Download__0012_SUCCESS-STORY_04

자세히보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 목적
HR 콘텐츠 다운로드 및 개인 식별

수집 및 이용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회사명, 이메일, 휴대전화번호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HR콘텐츠 다운로드 및 개인 식별 과정에서 수집 된 개인정보는 1년 간 보관되며, 이후 해당 정보는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동의 거부 시 불이익
사용자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다만, 필수 항목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해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는 콘텐츠 다운로드를 받을 수 없습니다.

자세히보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 목적
프로모션, 이벤트, 설문조사 및 광고성 정보 제공 등의 홍보 또는 마케팅에 활용

수집 및 이용 개인정보 항목
성명, 회사명, 이메일, 휴대전화번호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홍보, 마케팅 목적 이용 동의로 수집 된 개인정보는 이용 목적 달성 시까지 보관되며, 귀하께서 동의 철회 시 개인정보는 마케팅에 이용되지 않습니다

동의 거부 시 불이익
귀하는 개인정보 홍보, 마케팅 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콘텐츠 다운로드 과정에 불이익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다만, 개인정보 홍보,마케팅 이용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는 홍보,마케팅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없습니다.

HUMAN RESOURCE ISSUES

당신에게 꼭 필요한 HR 실무 정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