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height="1" width="1" style="display:none" src="https://www.facebook.com/tr?id=122748645220945&amp;ev=PageView&amp;noscript=1">

FOCUS

'수직적' 조직에서 '창의적'인재를 원한다고요?

2019.07.18

1. 억대 연봉을 주어도 못 버티는 직장

잡플래닛 HR연구소 은진기 소장이 대기업 해외 주재원을 대상으로 강의를 할 때의 일화입니다. 한 참석자가 ‘속았다’며 펑펑 울었습니다. 좋은 회사인 줄 알고 입사했는데, 일과 삶의 균형이 지켜지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그만 느끼는 문제는 아니었나 봅니다. 집, 억대 연봉 등 좋은 조건으로 입사를 제안 받았던 인재들은 일년 안에 절반이 떠났고 2년째엔 80%가 회사를 떠나고 있었습니다.

 

신입사원의 경우, 입사하자 마자 퇴사하는 사례를 더욱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단지 세대 간 특성 차이를 보여 주는 것이 아니라 입사 전 기대하던 기업의 모습과 실제 기업의 모습이 판이하였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이는 조직의 EVP(임직원가치제안 : 회사가 직원에게 제공하는 모든 가치)를 너무 과장하고 있거나 내부적으로 많은 개선 과제를 떠안고 있음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결국 HR은 내부 직원의 EVP를 파악하고 개선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대한 몰입도나 만족도 등에 대한 조사를 여러가지 방법으로 꾸준히 실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관련 포스트 자세히 읽어보기 : 사내 설문조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

 

shutterstock_541972846

2.  우리 기업은 어떤 얼굴을 가졌을까? EB와 EVP

Employer Brand(이하 EB)란 기업이 고유의 성격이자 이미지로서, 임직원이나 외부자가 해당 기업을 얼마나 좋은 고용주라고 생각하는지를 의미합니다. 흔히 '채용브랜드'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지만 입장을 바꾸어 보는 것이 정확합니다. 

 

Employer Branding이란 원하는 인재들로 하여금 자사에 호감을 갖게 하고, 재직중인 직원들이 회사를 선호하는 직장으로 생각하고 계속 재직해야 하는 이유를 강화하기 위해 회사가 수행하는 모든 활동을 말합니다. 

 

Employee Value Proposition(이하 EVP)란 직원들이 직장을 매력적으로 곳이라고 느낄 수 있도록 회사가 직원에게 제공하는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연봉과 복지 외에도 성취감을 조성하는 근무환경, 각계 분야 뛰어난 동료들, 독자적인 기술경쟁력, 업력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이전까지는 EB와 EVP에 대한 인식이 그다지 높지 않았지만 효율적인 인사관리에 필요한 활동으로 여겨짐에 따라 날로 중요성이 부각되는 추세입니다. 실제로 EB는 여러 의미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우선 고객의 제품 및 서비스 구입에 영향을 미칩니다. 치열한 인재경쟁에서도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습니다. 고급 인력들은 취업을 할 수 있을지를 걱정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잘 맞는 회사를 찾고자 하는 욕망이 더욱 크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채용을 담당하는 인사담당자의 80%가 좋은 EB는 우수인력 유치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으며(Linked-in Global), 안 좋은 EB를 가진 기업은 인재 채용 비용이 500만원 정도 더 든다는(좋은 기업 대비 $4,723)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3. 수직적 조직이 창의적 인재를 원한다고요?

채용을 진행하는 HR은 고충이 많습니다. 많은 지원자가 지원서를 제출해야 하고, 그 중에서도 좋은 인재를 확보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좋은 인재는 다른 회사 인사담당자 눈에도 꼭 필요한 사람일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재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인재상을 명확하게 설정한 뒤, 그들이 '일하기 좋다'라고 생각할 만한 EB를 구축하고 적극적으로 알려야 합니다. 다시 말해 조직을 혁신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를 원하기만 할 것이 아니라 그들이 능력을 발휘하고 만족하며 다닐 수 있는 업무 환경, 조직 문화, 보상 체계 등의 EVP를 우선 구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노쇼

1) 국내 직장인(83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97%가 입사 지원 전 회사 평판을 조사한다 답했습니다.

2) 좋은 EB를 가진 회사에서 이직 제의가 온다면 이직하겠다 답한 비율은 93%였습니다.

3) 합격한 회사의 평판이 좋지 않을 경우 입사를 하지 않겠다 답한 비율은 85%였습니다. 

4) 취업준비생(1,213명) 대상으로 면접 불참 사유에 대해 조사한 결과 ‘면접 전 해당 회사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니 연봉, 복지 등에 대한 평가가 별로 좋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30.6%로 가장 많았습니다. 

 

 

4. 우리회사의 내/외부 평판 조사하기 

- 임직원 EVP/평판 분석

인재 확보 목적으로 EB의 접근하는 경우에도 내부 평판을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지원자와 잠재 지원자가 지원 여부, 입사 여부 등의 판단을 위해 무엇보다 주시하는 것은 내부자의 평판이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잡플래닛이나 크레딧 잡, 블라인드 등의 서비스를 통해 회사의 내부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습니다. 

잡플래닛잡플래닛에서 확인할 수 있는 구성원 서베이 결과의 일부입니다.

 

 

EB 구축은 우리 회사의 장점과 단점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에서 출발해야 합니다. 직원들이 느끼는 불만들을 간과하기보다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물론 쉽지 않은 일일 것입니다. 비슷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글로벌 기업들은 퇴사자 인터뷰를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퇴사자 인터뷰의 장점은 임직원들은 이야기하기 어려운 문제들에 대해 보다 진솔한 의견을 들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조직장에게 문제가 있는 경우 퇴사자 면담을 통해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퇴사자 면담시 활용가능한 질문 리스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 포스트 자세히 읽어보기 : 떠난이에게 질문하세요, 퇴사자면담]

 

보다 직접적인 방법은 내부 임직원 서베이 입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익명성 보장에 대한 신뢰가 두터울수록 구체적인 답변을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잡플래닛 은진기 이사가 공유한 질문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Q. 우리 회사에 입사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Q. 입사를 결정한 이유와 실제 근무 하면서 느낀 경험에 차이가 있나요?

Q. 차이가 있다면 무엇입니까?

Q. 회사 선택에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은 무엇입니까?

Q. 기업문화 중 가장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점은 무엇입니까?

Q. 우리 회사를 친구나 가족에게 추천하시겠습니까?

 

[관련 포스트 자세히 읽어보기 : 사내 설문조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

 

- 외부 평판 조사 및 분석

외부 조사는 일반적으로 채용 전형을 거쳤던 신입 및 경력 지원자들의 인식 및 후보자경험을 먼저 조사합니다. 헤드헌터나 취업정보센터 등 외부 전문가 그룹의 평판도 중요합니다. 지원율, 지원자 수, 합격자의 실제 입사 비율 등의 지표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구글의 경우에도 모든 지원자에게 입사지원경험에 대한 서베이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5. EB 전략 도출하기

기초 조사를 수행한 뒤 EVP 매트릭스를 작성합니다. 임직원들이 실제 느끼는 EB, 대외적으로 구축된 EB를 각각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설정합니다. 긍정적인 요인일수록 원점에서 멀리 포지셔닝합니다.  각 요소들의 포지션에 따라 4가지 전략들 도출해 볼 수 있습니다. 
001

도표를 작성하기에 앞서 어떤 것들이 EVP가 될 수 있을지 막연하신 분들도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잡플래닛 은진기 이사가 예시로 든 요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각광받는 스타트업 조직문화, 대기업 네임밸류, 높은 급여와 같이 아주 특별한 것들만이 EVP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남녀 차별이 없는', '임직원을 존중하는' 등과 같이 당연해 보이는 요소도 EVP가 될 수 있으며 Employer Branding의 대표 꼭지가 될 수 있습니다. 

evp예시

evp도출Employer Branding이라는 주제로 진행했던 마이다스아이티 HR세미나

 

 

6. EB 강화하기 

Employer Branding은 다양한 채널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습니다. 잘못된 기업 이미지를 바로잡는 것 부터, 내부적으로만 알려져 있는 좋은 문화를 알리는 것 모두가 Employer Branding 활동이라 할 수 있습니다. 

 

소구 포인트와 컨텐츠 성격에 따라 다양한 세부 전략이 있겠지만, 오늘 추천 드리고 싶은 사례는 실제 기업 문화를 담은 영상컨텐츠 제작에 관한 것입니다. 잘 만들어진 사례 10선을 엄선하였으니 링크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관련 포스트 자세히 읽어보기 : 잘 만든 기업 문화 비디오 10]

 

첨언하여 드리고 싶은 말은 제작이나 실행에 큰 부담을 갖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SNS 홍보가 부담스러워서, 영상 제작을 해본적이 없어서 망설이고 있다면 여러분께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문가들은 어디에나 있다는 것을 떠올리시기 바랍니다. 것보다 중요한 것은 EB에 대한 진정성 있는 접근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shutterstock_567249094

하단에 첨부된 잡플래닛 은진기 이사님의 HR FOCUS는 대내외적 EVP 분석을 통해 브랜딩 포인트를 발굴하고, 명확한 Employer Brand를 구축하는 4단계 실무 전략을 담고 있습니다. 아래 다운로드 버튼을 통해 솔루션을 내려받으세요. 

 

Employer Branding,

우수인력 확보 및

유지를 위한 전략

employer-Branding-다운로드

자세히보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 목적
HR 콘텐츠 다운로드 및 개인 식별

수집 및 이용하는 개인정보 항목
성명, 회사명, 이메일, 휴대전화번호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HR콘텐츠 다운로드 및 개인 식별 과정에서 수집 된 개인정보는 1년 간 보관되며, 이후 해당 정보는 지체 없이 파기됩니다.

동의 거부 시 불이익
사용자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다만, 필수 항목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해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는 콘텐츠 다운로드를 받을 수 없습니다.

자세히보기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 목적
프로모션, 이벤트, 설문조사 및 광고성 정보 제공 등의 홍보 또는 마케팅에 활용

수집 및 이용 개인정보 항목
성명, 회사명, 이메일, 휴대전화번호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홍보, 마케팅 목적 이용 동의로 수집 된 개인정보는 이용 목적 달성 시까지 보관되며, 귀하께서 동의 철회 시 개인정보는 마케팅에 이용되지 않습니다

동의 거부 시 불이익
귀하는 개인정보 홍보, 마케팅 이용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콘텐츠 다운로드 과정에 불이익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다만, 개인정보 홍보,마케팅 이용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에는 홍보,마케팅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없습니다.

HUMAN RESOURCE ISSUES

당신에게 꼭 필요한 HR 실무 정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