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실무자들의 사례공유 워크샵을 통해 선정한 2019 HR 트랜드 10가지와
해당 이슈에 대한 주요 기업들의 안건, 참고하실 수 있는 아티클을 정리했습니다.
* 밑줄 친 부분을 클릭하시면, 해당 아티클로 이동합니다.
2019년 대한민국 HR트랜드는 무엇일까?
i) 한국 HR협회란? : 11년 차 HR 자율 모임
ii) 참석 실무진 : 한미글로벌, 서울도시가스, SK네트웍스, LS산전, 산업은행, 세정, 원익큐브, 농협중앙회, 빙그레, 신세계인터내셔날 등 회사의 인사담당자 40명
iii) HR 트렌드 선정 방식 :
1) 각 사별 주요 HR 이슈 도출 (약 300개)
2) 조별 워크숍을 통해 최종 10개의 트랜드 선정
인사담당자가 꼽은 2019 HR Trend 10과 논의된 이슈들!
1. 스마트워크
- 근로시간 단축에 다른 생산성 향상이 핵심
- 많은 기업들은 조직 문화와 일하는 방식의 변화를 시도하는 중!
- 1인 1책상을 없앤다? : 일 처리 방식, 소통의 방식을 혁신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의 일환
- 문서 공유화를 통한 결재 방식의 변화 : 의사결정 과정 단축 목적
2. 밀레니얼 세대
- IT에 능통한 '로그인'세대
- 업무 처리 방식과 효율적인 면에서 기성 세대와 속도 차이가 크다
- 소확행을 즐기며, '꼰대'는 피하고 싶은 대상일 뿐
- 서로 적응해주길 바라는 것 보다는 적극적인 수용과 포용이 필요
- 퇴사자의 72%가 밀레니얼... 이유는 경직적 조직문화
3. 애자일
- 환경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조직 구조 및 운영 방식
- "전략과 실행의 동시성"
- 조직 변화 속도가 기업 생존의 핵심이다.
4. 임금체계
- 최저 임금 인상과 정년 연장으로 인한 인건비 부담
- 주요 대기업 70%가 임금체계 개편을 검토하는 중
5. 절대·상시평가
- KPI의 붕괴, 매일의 평가와 상시 피드백이 해답
- 절대 평가와 상시평가로의 전환
- 평가보다는 '육성', '피드백', '코칭'의 중요성이 커지는 중
- '지시'보다는 현장에서의 '즉시 코칭'이 필요
6. 노사갈등
- 노조의 경영 참여, 산업 안전권 보장 등 조직 내 다양한 갈등 요소가 표출되는 중
7. 워라밸
- 워라밸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 VS 워라밸로 인재 확보
- 퇴근 후 퇴직을 대비하는 직원이 늘어난다?
- 업무 몰입도 저하와 조직 관리의 어려움에 따른 대처 방안 필요
8. 블라인드 채용
- 채용 절차법 개정 및 블라인드 채용 확대
- 여전히 쉽지 않은 채용, 공정성과 적합성은 더욱 중요해지는 상황
9. 자기주도학습
- 개인 스스로의 경력개발 계획 및 자기주도적 학습이 대세
- 강제적인 교육은 지양하는 분위기 : 교육 몰입도가 낮다
- 학점 이수제 등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자발적인 학습에 대한 지원
10. 디지털 HR
- HR data, AI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HR 활동이 강화 되는 중
- 조직 내 산재되어 있는 HR 데이터를 분석하여 HR 방향 수립에 활용
- 일하는 방식의 변화 등 조직문화 혁신의 Key가 될 것
- 장점은 비용에 대한 부담이 없다는 것
여러분이 고민하고 계시던 이슈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을 것 같은데요.
HR 실무 담당자들이 사례 공유를 통해 선정한 키워드들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있게 느껴집니다. 직면한 과제를 공유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응 전략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루어졌으면 어떨까 하는 약간의 아쉬움도 남는데요.
조만간 공개될 HREV 세미나(에이치랩 톡)에도 많은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이번에 준비한 아티클은 여기까지입니다. 새로운 이슈로 다시 만나요!